그 전날 왜 내가 새고개 맞은 봉우리 화전밭을 혼자 갈고 있지 않았느냐. 밭 가생이로 돌 적마다 야릇한 꽃내가 물컥물컥 코를 찌르고 머리 위에서 벌들은 가끔 붕 붕 소리를 친다. 바위 틈에서 샘물 소리밖에 안 들리는 산골짜기니까 맑은 하늘의 봄볕은 이불 속같이 따스하고 꼭 꿈꾸는 것 같다. 나는 몸이 나른하고(몸살을 아직 모르지만) 병이 나려고 그러는지 가슴이 울렁울렁하고 이랬다.
"이러이! 말이 맘 마 마......"
이렇게 노래를 하며 소를 부리면 여느 때 같으면 어깨가 으쓱으쓱한다. 웬일인지 밭 반도 갈지 않아서 온몸의 맥이 풀리고 대고 짜증만 만다. 공연히 소만 들입다 두들기며
"안야! 안야! 이 망할자식의 소(장인님의 소니까)대리를 꺽어 줄라."
그러나 내 속은 정말 안냐 때문이 아니라 점심을 이고 온 점순이의 키를 보고 울화가 났던 것이다.
점순이는 뭐 그리 썩 예쁜 계집애는 못 된다. 그렇다구 개떡이냐 하면 그런 것도 아니고 꼭 내 아내가 돼야 할 만치 그저 툽툽하게 생긴 얼굴이다. 나보다 십 년이 아래니까 올해 열여섯인데 몸은 남보다 두살이나 덜 자랐다. 남은 잘도 훤칠히들 크건만 이건 위아래가 몽툭한 것이 내 눈에는 헐없이 감참외 같다. 참외 중에는 감참외가 제일 맛좋고 예쁘니까 말이다. 둥글로 커단 눈은 서글서글하니 좋고 좀 지쳐 찢어졌지만 입은 밥술이나 톡톡히 먹음직하니 좋다.
○ 새고개 : 이름 없는 고갯길,
○ 화전밭 : 주로 산간 지대에서 풀과 나무를 불살라 버리고 그 자리에 농사를 짓는 밭
○ 가생이 : 가장자리
○ 꽃내 : 꽃내음 ※ 내음 = 향기
○ 봄볕 : 봄햇빛
○ 대리 : 다리
○ 개떡 : 노깨, 나깨 보릿겨 따위를 반죽하여 찐 떡, 몸생기거나 나쁘거나 마음에 들지 않은 때 비유하여 이르는 말
○ 툽툽하다 : 생김새가 멋이 없고 투박하다.
○ 훤칠하다 : 길고 미끈하다
○ 헐없다 : 말할 것도 없다. 두말할 나위 없다.
○ 감참외 : 살이 잘 익은 감빛처럼 붉은 참외
○ 서글서글하다 : 성질이나 생김새가 부드럽고 상냥하다.
'우리글 읽기 > 김유정-봄봄' 카테고리의 다른 글
김유정 '봄봄' 8 - 우리가 구장님을...... (79) | 2023.11.05 |
---|---|
김유정 '봄봄' 7 - 아따 밥만 많이...... (51) | 2023.11.03 |
김유정 '봄봄'5 - 논둑에서...... (75) | 2023.10.31 |
김유정 '봄봄'4 - 그러나 내겐...... (111) | 2023.10.29 |
김유정 '봄봄' 3 - 난 물 붓다...... (120) | 2023.10.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