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무임승차기술 - 1
윤직원 영감은 명창대회를 무척 좋아합니다.
아마 이 세상에 돈만 빼놓고는 둘째 가게 그 명창대회란 것을 좋아할 것입니다.
윤직원 영감은 본이 전라도 태생인 관계도 있겠지만, 그는 워낙 남도 소리며 음률 같은 것을 이만저만찮게 좋아합니다.
그렇게 좋아하는 깐으로는, 일년 삼백예순날을 밤낮으로라도 기생이며 광대며를 사랑으로 불러다가 듣고 놀고 하고는 싶지만, 그렇게 하자면 일왈 돈이 여간만 많이 드나요!
아마 연일을 붙박이로 그렇게 하기로 하고, 어느 권번이나 조선음악연구회 같은 데 교섭을 해서 특별할인을 한다더라도 하루에 소불하 십 원쯤은 쳐주어야 할 테니, 하루에 십 원이면 한 달이면 삼백 원이라, 그리고 일년이면 삼천…… 아유! 그건 윤직원 영감으로 앉아서는 도무지 생각할 수도 없게시리 큰 돈입니다.
천문학적 숫자란 건 아마 이런 경우에 써야 할 문잘걸요.
한즉, 도저히 그건 아주 생심도 못 할 일입니다.
그런데 그거야말로 사람 살 곳은 골골마다 있다든지, 윤직원 영감의 그다지도 뜻 두고 이루지 못하는 대원을 적이나마 풀어 주는 게 있으니, 라디오와 명창대회가 바로 그것입니다.
이완(李浣) 이대장으로 치면 군산(群山)을 죄꼼은 깎고, 계수를 몇 가지 벤 만큼이나 하다 할는지요. 윤직원 영감은 그래서 바로 머리맡 연상(硯床) 위에 삼구(三球)짜리 라디오 한 세트를 매두고, 그걸 금이야 옥이야 하면서 방송국의 마이크를 통해 오는 남도 소리며 음률 가사 같은 것을 듣고는 합니다.
장죽을 기다랗게 물고는 보료 위에 편안히 드러누워 좋다!
소리를 연해 쳐가면서 즐거운 그 음악 소리를 듣노라면, 고년들의 이쁘게 생긴 얼굴이나 광대들의 거동이 눈에 보이지 않아서 유감은 유감이지만, 그래도 좋기야 참 좋습니다.
* 명창 : 노래를 뛰어나게 잘 부르는 사람
* 깐 : '-한 것 치고는' , 일의 형편 따위를 속으로 헤아려 보는 생각이나 가늠
* 일왈(一曰) : 한마디로 말해서
* 권번(券番) : 일제 강점기 때 기생들의 조합을 이르던 말.
* 소불하(少不下) : 적게 잡아도, 적어도
* 생심(生心) : 어떤 일을 하려고 마음을 먹음 혹은 그 마음
* 대원 : 큰 소원
* 죄꼼 : 조금(???)
* 연상(硯床) : 문방제구를 벌여 놓아두는 작은 책상 / 벼루 먹 붓 연적 등을 담아 두는 책상
* 장죽 : 긴 담뱃대
* 보료 : 솜이나 짐승의 털로 속을 넣고 천으로 겉을 싸서 선을 두르고 곱게 꾸며 앉는 자리에 늘 깔라 두는 두툼한 이불
* 연해 : 거듭
'우리글 읽기 > 채만식-태평천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채만식 '태평천하' 7 - 기생이며 광대가...... (69) | 2024.03.24 |
---|---|
채만식 '태평천하' 6 - 라디오를 프로그램을... ... (30) | 2024.03.17 |
채만식 '태평천하' 4 - 인력거꾼은 괜히...... (38) | 2024.02.23 |
채만식 '태평천하' 3 - 알고 보니 참 기가...... (55) | 2024.02.15 |
채만식 '태평천하' 2 - 인력거에서 내려 선 윤직원 영감은...... (84) | 2024.02.03 |